텐베거나 급등주 혹은 미래에 상승하게 되는 종목이 이런 구간이라면
LC 수치가 작게 된다 300이하?
매집하는 파동이 나오면서 저점과 고점의 공간이 나오게 된다
우리는 이걸 박스권이나
골든크로스 등등의
이름으로 부른다
그리고
최고점이 찍어지고 잔치가 끝난 종목들은 LC가 1000~3000~5000이상으로 높게 표시 된다
그러면 딱 보기에도 너무 많이 올랐으니까
아예 사지 말던가
아니면 비중 10프로 미만으로 소량만 사는걸로 접근할때
쳐박으면 손실이 나도 매수액이 적으니까 리스크도 줄어든다
그러니까 여기서 배울수 있는 것은
1-2파동에서 비중을 좀더 사고
4-5파동 구간에서는 비중을 줄여서 사는 식으로
비중 조절을 고려해서 투자 전략을 짜야 한다는것이다
항상 우리는 주식 책 같은걸 보면
어떻게 활용하는지는 써있지 않다
책을 쓴 사람들이
책팔이들이
남의 책을 복사 붙여넣기하고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실전 투자를 하지 않는다
할줄도 모른다
그래서 그딴 불쏘시개 글이나 책을 보기때문에
하락파동이 시장 지수에서 나타나면
사람들은 패닉에 빠진다
실전에 필요한 근육운동을 평소에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명 유튜브 고수네 머네 하는 사람들도
그런거 가르쳐주지 않는다
고수들은 이슈가 되는 종목을 아예 매수를 안합니다 (1) | 2022.01.31 |
---|---|
일본 만화가의 주식 투자 만화 (5) | 2022.01.31 |
SK하이닉스 차트 (3) | 2022.01.30 |
폭락장에 좋아하면 싸이코패스? (5) | 2022.01.30 |
만약에 지금이 2020년이라면-2020년과 2022년의 투자전략은 다르다- (1) | 2022.01.30 |
미니차트의 LC (2) | 2022.01.30 |
박스와 박스가 아닌것 (1) | 2022.01.30 |
삼성SDI (오류로 글이 삭제되서 수정 추가함) (2) | 2022.01.3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