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케미칼
포바이포
↑ 월봉상 신고가인 상한가 종목
↑ 신고가 구간에서 머물고 있는 종목
↑ 시장의 중심이 되는 종목들
오늘 SK이터닉스 아주 좋아보이네요
괜찮은데 아주 좋지는 않고
오늘의 MVP는 SK이터닉스
이거 주식 모으기 60일 하면 한번 주지 않을까?
바이오 개잡주 에이비엘바이오
SK텔레콤도 괜찮긴 한데
이런건 수익률이 작아서 별로 사고싶지 않다
한국가스공사 월봉 잘 눌린 상태 함 줄수도 있는 일봉 형태
전업투자자가 있다고 치고 1달에 2천만원 이상 수익난다면
초보가 저거 보고 저 사람이 노는 사냥터에서만 놀아야겠다
이렇게 생각 하고 그 사냥터에서만 노니까 수익이 점점 늘어남
그런데 손실나는 초보들은 수익 안나는 사냥터에서 놀음
거기다가 레버리지 씀 + 돈을 못 버는 사냥터에서
귀중한 시간에 이자까지 다 사용해버림
참고할 모범 샘플이 없어서 손실 나는 사냥터에서 계속 시간 버리고 있음
시간 낭비하면서 정치 떡밥 같은거 이야기하면서
어떤 놈이 정치 잘못해서 손실이 났다 이런식으로 생각함
올바른 사냥터에서 수익나는 사냥을 해야함
DB손보 다올투자증권 2대주주 9.73%
요새 양놈들이 미국 주식 대형주 200주선 지지 테스트라고 자꾸 떠들던데
그거 무너진 다음에
밑에서 주워 담으면 그게 바닥이다
양아치 골드만삭스
개미를 죽이기 위해 거짓말을 하다
(양적 완화를 하면 2030년 후에는 주식 수익률이 좋을거라고)
작년에 2025년 되면 개잡주랑 코인 갈거라고 생각했는데
코인이 연말에 마구 마구 오르더니
신문 기사에 농협 계좌 많이 만들었네 도지 코인 많이 샀네 아줌마들이 많이 샀네
이러는거야
그리고 작년말에 중소형주 개잡주들이 안 감
코인만 눈에 띄게 올라감
그래서 2025년 1월에 코인 다 팔고
그 돈으로 한국 주식 샀음
전부 오름
이게 왜 그러냐면 비트코인 오르기전에
밑바닥에서 횡보 긴 시간동안 하니까 사람들이 코인 그때 안 간다고 했음
그래서 그때 코인 샀음
근데 코인 많이 오르고 작년 말에 사람들이 코인이 계속 간다고 떠드는거야
근데 이 사람들 바닥에 사던 사람들이 아니야 최고점에서 처음 진입한 사람들인거야
그러니까 기술적 분석을 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자기 소망에 대해 이야기한거야
그러니까 갑자기 기분이 안 좋아져서 코인 다 팔고 싶어짐
그리고 작년말이랑 이번해 초에 차트 왜 보냐?
이 소리가 굉장히 많이 보였음
차트 왜 보냐는 소리가 쏟아지기 전에 많이 나오는 소리고
거기다가 돈 자랑 부모 자랑 글이 많았음
대학생들 투자 늘어나면 돈 부모 학점 글 많이 올라옴
2014~2020년
현대차 개미 털기
최근에 중국인들이 코인 왕창 매도함
중국 코인 10원짜리가 한국에 천원~만원이상으로 한국 코인 거래소에 상장되있음
한국 개미가 이걸 매수해서 내려오면 물타기하고 대출해서 물타기함
만약에 저 10원짜리가 하락해서 다시 10원이 되면
대출 받은 물량이 쏟아지고
자금 회수 현상 일어남
그 후에 주식 다시 올라감
골든 크로스였다가 지지선 무너지는 종목
주식 모으기 40일 하니까 많이 올라가더라
주식 하기 쉽다
년 단위로 매수하는 기능도 있으면
삼성전자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삼성바이오로직스 1년마다 살텐데
당연히 증거금 예치되있으니까 증권사는 예치금 이자 꿀이고
근데 왜 기능을 안 만드냐고
이자 꿀인데...
"주식모으기 OO일동안 했던 ㅁㅁㅁ종목이 20프로 넘게 올라 갔다 주식 모으기를 더 할거냐?"
주식모으기 20일
주식모으기 20주
주식모으기 20월
20번씩 사면 괜찮을 회사만 열심히 두들겨 패면... 좋을거 같다
이름 좋은 회사는 20개월 투자해도 충분히 좋다고 본다
장대음봉 뒤에는 항상 장대양봉으로 줬다 (2) | 2025.04.28 |
---|---|
모두에게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2) | 2025.04.25 |
연말에는 미국이 신고를 돌파한다 (1) | 2025.04.24 |
저점 매수 구간이다 (0) | 2025.04.23 |
삼성전자의 모습이 거대하게 좋아 보인다 (0) | 2025.04.21 |
양자가 갈수 있을까 (1) | 2025.04.18 |
ETF 수익률 개똥 같다 주식 수익률이 더 높다 (1) | 2025.04.17 |
테슬라 올라가겠지? (1) | 2025.04.16 |
댓글 영역